" 주식시장의 3대 테마죠, 바로 바이오, 제약, 화장품 관련주 " 영화 작전에서 나왔던 대사 입니다. 그렇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뉴스에서 접하고 그토록 관심을 많이 받았던 응답하라 1988에서도 등장했던 화장품 대장주 태평양(현 아모레퍼시픽), 한미약품, 그런데 지금은 대내외적 외부요인으로 인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한 시대를 풍미한 황제의 테마라고 표현한 이유도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3대 테마로 불리우는 제약, 바이오, 화장품 도대체 왜 ? 다른 기업들도 많은이 이 종목들이 황제테마의 반열에 오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돈이 되는 제약, 바이오, 화장품
언제나 작전 세력의 표적이 되는곳은 사람들의 관심과 돈이 몰리는 곳 입니다.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욕구에 기본한다는 전제로 보시면 되는데요. 사람은 태어나면 누구나 죽습니다. 그런데 사실 멀쩡한 사람이 일찍 죽고 싶은 사람은 없을거고 되도록 오래 살고 싶어 합니다. 그리고 질병이나 암 같은 고치기 어려운 병에 걸린 사람들은 신약이 개발되기만을 바라며 하루하루를 희망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약사들이 임상실험을 하고 3상실험까지 통과를 해서 시판을 하면 매출이 조단위로 넘어가기 때문에 작전세력은 이를 이용하는 것 입니다. 화장품을 생각해 봅시다. 사람들의 미에 대한 욕구, 외모지상주의가 화장품을 황제테마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단순한 이유가 화장품을 황제테마로 만든것만은 아닙니다. 화장품이 황제 테마 반열에 오를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우리나라의 기술력, 그리고 저렴한 가격, 더불어 이 화장품을 사줬던 중국이 있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사드보복으로 인해 화장품주는 당분간 힘들게 됐습니다. 사드 보복으로 인해 화장품 주식이 빠지는 이유는 그동안 중국 덕을 많이 봤다는 증거겠지요

● 황제의 몰락, 한미약품 계약해지 사건
항상 바이오, 제약 주식에는 우려가 제기 되 왔습니다. 아무리 주가가 현재 가치가 아닌 미래가치를 반영하고 기대를 먹고 쑥쑥 커가는 거라고 하지만 커도 너무 커버렸기 때문이죠 10만원대에 머물던 한미약품이 잇따른 기술신약계약 수출로 최고가 70만원대를 기록하면서 7배를 올렸습니다. 비교적 시총이 가볍고 주식수가 적은 소외주, 즉 작전주를 올린게 아니라 대기업이라 할수 있는 한미약품의 주식을 7배나 올린다... 그 만큼 많은 사람들이 기대를 하고 있었다는 것 이겠죠. 그런데 터질게 터졌습니다. 잇따른 기술계약수출로 승승장구 하던 한미약품은 개발중단, 임상지연, 늑장공시 등 여러가지 사건들을 터뜨리며 주가는 반토막을 넘어 세토막까지 나기에 이릅니다. 주식이 무섭다는 것... 언제나 그 가격이 유지 되지 않는 다는것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한진해운만 보더라도 지금 당장 내일모래 상장폐지되어 파산에 이를지경이니..... 주식은 역시 대응 입니다. 현실을 봅시다. 아무리 파란만장한 회사, 실력이 뒷받침이 되는 회사라고 하더라도 지금 장독대가 깨져서 물이 새고 있는데 괜찮아 다시 떼우고 채우면 되는 멍청한 생각 입니다. 일단 꺠진 장독대는 잊고 새로운것을 생각해야 할 때라는 겁니다.

● 사드보복으로 무너진 화장품
요우커의 싹쓸이, 마스크팩 열풍, 한국 화장품 품귀현상 등으로 화장품 주식들은 나날이 고공행진을 이어갔습니다. 중국과의 관계가 참으로 좋았던 2015년 경 토니모리가 상장을 했습니다. 토니모리는 상장 50,500원으로 마감, 첫날 약세를 면치 못했지만 이 후 짧은 시간에 고공행진을 거쳐 종가 기준 70,500원까지 기록을 했으나 중국의 사드보복, 화장품주의 약세로 인해 현재 기준으로는 19,800원까지 떨어졌습니다. 황제주로 평가받던 아모레퍼시픽은 어떨까요 1년 내 최고가 443,000원에서 사드 보복, 한국 관광 전면금지조치가 내려진 지금 기준 251,500원 입니다. 무려 반토막 수준 입니다. 그래서 주식은 장기투자라고는 하지만 이렇게 외부요인으로 인해 내 잘못도 아닌데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단기대응도 나쁘지 않다는 겁니다. 여러가지 투자 스타일을 갖추셔야 그나마 있는 돈이라도 지키고 멘탈 흔들리지 않는 투자 생활이 될 수 있습니다.
굳이 다 아는 주식을 소개하지는 않겠습니다. 현 코스피, 코스닥 상황이 많이 좋지 않습니다. 미 금리 인상 이슈에 사드 보복, 엎친데 덮친격으로 악재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인터넷 댓글러 들은 우스갯소리로 지금이 기회다. 쌀 때 사야한다. 떨어질 떄 주워라 라고 하지만 지금 떨어지는게 바닥인지, 바닥에서 주웠는데 지하실이 있는거 아닌지 하는 두려움에 못 줍는 경우도 많습니다. 본 필자는 필자 나름대로의 대응을 하겠지만... 이 글을 보시는 투자자분들도 적절한 대응으로 손실은 최소화 하시고 수익은 대박 나시길 바래봅니다.